
수요 예측에 성공한 기업들이 선택한
재고 관리 테크닉 79
유아사 가즈오 지음 / 신주영 옮김
재고관리의 필요성을 느껴서 이 책을 찾게되었다.
이 책은 어려운 수식이나 계산이 없이 초보 자영업자도 쉽게 입문할수있도록 쓰여있어서 마음에 들었다.
재고관리테크닉 79 란
가장 적게 재고를 가지는것을 추구한다.
너무많으면 재고과잉이되고 재고가 부족하면 매출의 기회를 잃어버린다.
따라서 가장 잘 한 재고관리는 재고를 최소수준으로 가지는 것이다.

재고가 과잉되거나 결핍되는 이유는 수요예측을 잘못해 더 사거나 덜 샀기 떄문이다.
제고관리테크닉79에서는 수요예측을 하지않고 수요'대응'을 한다.
수요. 즉,1일평균출하량의 변화에 따라서 발주점과 발주량도 변한다.
1일 평균 출하량은
2주(혹은 한달)간의 이동평균치 를 쓴다.
(재고일수+리드타임일수)*1일평균출하량+안전재고 만큼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가 판매가 되서 재고가 줄어들어
리드타임*1일평균 출하량에 도달하면
재고상한-(현재재고량+남은발주분)
만큼 발주를 넣는다.
이렇게 1일평균출하량에 대응해서 발주하면 재고가결핍되지 않고 그렇다고 과잉되지도 않는다.

비정기/비정량 발주의 메커니즘
비정기/비정량 발주의 메커니즘은 단순하다.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줄어
일정 수준(발주점)에 도달했을때
일정량을 주문하는것이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1) 재고가 줄어드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2) 주문하는 수준을 나타내는 수치
3)주문량을 나타내는 수치
가 필요하다.

이 3가지 수치에 의미를 부여하려면 추가적으로 2가지 수치가 필요하다
첫번쨰는 '일수' 이고
두번째는 '1일 평균 출하량'이다.
재고수량을 그냥 사용하지 않고 일수에 1일평균출하량을 곱해서 수량을 산출한다.
'리드타임일수'이란 발주 후 입고될 때까지의 기간을 가르킨다.
예를들어
리드타임이 3일이고
1일 평균 출하량이 10개면
발주점이 30개로 계산된다.

발주점에 도달했을때 발주량은 얼마나 될까?
여기서도 일수라는 특을 설정해야한다.
일수는 며칠치 재고를 보유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해 놓은것이다.
이것이 '재고일수'이다.
재고일수에 1일 평균 출하량을 곱하면 발주량이 나온다.
출하대응일수는 재고가 줄어드는 정도를 나타내는 일수이다.
재고가 줄어드는 정도는 재고 수량 그 자체를 보면 된다고 했지만, 수량은 현재의 보유 상태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관리상 의미가 없다.
따라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현재의 재고량을 1일 평균 출하량으로 나누어야한다.
산출한 수치는 현재 보유재고로 앞으로 몇칠치 출하에 대응할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어
현재 100개의 재고가 있다
1일 평균 출하량이 20개 라면
앞으로 5일간 출하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재고관리에서 '출하대응일수' ,'리드타임일수', '재고일수'는 3대 수치이다.
모두 일수이고
특히 발주점과 발주량의 판단은 일수로 밖에 할 수없다.
리드타임일수와 재고일수를 정해놓고 두 일수에 1일평균출하량을 곱해서 양을 산출하기 때문이다.
1일 평균 출하량은 ㅣ일정기간의 출하량을 추하일수로 나누어서 산출한다.
2주일 또는 한달간의 이동 평균치이다.
이는 매일 산출되기 때문에 출하량이 늘어나면 1일 평균 출하량도 늘어난다.
반대로 출하량이 줄어든 경우에는 1일 평균 출하량도 줄어든다.
이동 평균 기간을 짧게 하면 할수록 하루하루의 변동을 반영한 수치가 된다.
예를들어 재고일수가 5일인 경우에 1일 평균출하량이 10개라면 발주량은 50개이지만 15개가 되면 발주량은 75개가 된다.
이렇게 해서 출하 변동에 대응하여 재고량을 바꾸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시 정리해 보면 비정기/비정량 발주의 핵심은 '재고를 일수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일수를 기초로 하지않으면 출하변동에 대응하여 재고를 유지하는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는 수량으로는 관리가 불가능하다.
예를들어 , 재고량이 하루에 100개정도 생기니깐 10일치면 1000개라는 식으로 재고수량을 정할경우,1일 출하량이 바뀌면 이에 맞춰 1000개라는 양을 바꾸지 않으면 재고의 과부족 상태가 발생한다.
그런데 한번 1000개라고 정해 놓으면 개수를 바꾸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는 경향이 있다. 출하량의 변화에 맞춰 재고량을 바꾸기 위해서는 재고일수를 정해 놓고 이에 1일 평균 출하량을 곱해서 필요한 재고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관리해야한다.
1일 평균 출하량이라는 수치는 변동되며 , 리드타임 일수나 재고 일수와 같은 일수는 발주하는 시점과 양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재고 관리 테크닉 79:수요 예측에 성공한 기업들이 선택한
COUPANG
www.coupang.com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의식 좀비 바이러스의 백신 (0) | 2022.08.12 |
---|---|
내가 질투를 느끼는 대상: 김머신, 띠예, 전 여자친구 (0) | 2022.08.11 |
폴은 어떻게 재고관리 해결사가 되었을까? (0) | 2020.12.30 |
행복한 이기주의자 (0) | 2020.12.20 |
사마천이 알려주는 돈버는 방법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