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만원과 1억원은 같다

 

지금 1 30년후 1억은 다르다

지금 1= 30년후 18

= 우리가 지금 1억원이 없어도 30년후에 1 8천만원이 있다면 지금 1억원을 갖고있는것과 마찬가지다.

 

 

 

< 30년후의 18천만원을 모으니 가장 효율적인 방법 >

S&P500 30년동안 투자한다고 가정했을때 평균수익률8%

매달 12만원씩 투자를 하면 30년후에 1 8천만원이다.

 

불필요하게 지출되고있는 15만원을 아껴서 1억원을 만들수있다.

 

 

< 합리적인 소비에 대한 판단기준 >

) 소비액 핸드폰단말기값 3만원 = 15만원*20% = 2000만원을 만들 있는 기회

'자본소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드머니뜻 (부자가 되기위한 첫걸음)  (1) 2020.12.17

시드머니

( Seed Money )

 

이 그림에 부자의 원리가 함축적으로 담겨져있다.

 

 

우리말로는 종잣돈 이라는 뜻이다.

 

부자가 되고싶으면 먼저 시드머니부터 모으라고들 한다.

왜 시드머니를 모아야할까?

 

잠깐!

먼저,

왜 시드머니라고 할까?

Seed = 씨앗 

이 씨앗이 크면 부자가 된다.

씨앗은 일정 조건을 맞춰주면 혼자서 자란다. 

그렇다 여기에 부자의 원리가 함축되어있다...

부자아빠,가난한아빠에서 로버트 기요사키가 말한.

 

 

 

 

 

정리하자면 

씨앗이 스스로 크듯이,

"자산이 자산을 만들게 해야한다!"

 

 

 

 

가난한 사람, 중산층, 부자의 현금흐름 차이이다.

 

 

 

 

노동으로 모아야

=> 실뜻은 낮은 확률로 얻는 투자로 모을생각을 하지말것

사업으로 모으는 가능

 

절제로 종잣돈을 만든다

"돈이 있어야 투자를 할수있다"

 

수익이 적어서 저축이 없는게 아니다 "절제"

 

절제방법.

  1. 가계부 적기

-쓸모없는 지출이 보인다

"지출 계량목표" 설정

<- 경제적 자유를 위해 저축 '해야하는' 금액

결제적 자유, 한달 x 만원 저축 필요

궁극적 목표 : 매년 자산의 3%이하를 지출 (소비<자산3%). 그전까지 도달전에는 무조건 아껴라

 

  1. 쓸데없는 보험을  들지 않는다
  2. 지출은 '' 소득에 맞춰라 (친구,이웃,동료,라이프스타일 x)
  3. 생활전체를 지출목표에 맞춰라
  4. 프리덤 펀드 저축 - 소득의 10-50% (현재의 일상도 즐길수 있게)

 

 

시드머니=모으려는 1/10

 

 

 

 

+ Recent posts